《무도실무관》 – 국방부엔 없고, 예비군 마음 속에만 있는 그 사람

이미지
국방의 의무를 다한 자들이 공감할 단 하나의 직책 ‘무도실무관’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많은 이들이 웃음을 터뜨리거나 고개를 끄덕인다. 군대를 다녀온 남성들에게는 일종의 밈이 되었고, 그렇지 않은 이들에겐 낯설지만 왠지 웃긴 단어다. 영화 《무도실무관》은 바로 이 독특한 이름을 가진 존재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블랙코미디다.  예비군 훈련장에서 벌어지는 소소하지만 기막힌 에피소드들을 유쾌하게 풀어낸 이 영화는, 군대라는 소재를 전면에 내세우면서도 단지 남성들만의 공감에 머물지 않는다. 오히려 모두가 겪는 ‘불합리한 조직 생활’에 대한 은근한 풍자를 담고 있어, 입소문으로 조용히 폭발 중인 수작이다. 1. 실무관은 실존하지 않아도 ‘존재감’은 만렙 – 설정의 승리 《무도실무관》의 가장 큰 미덕은 그 발상에 있다. "정말 저런 사람이 존재할까?" 싶을 정도로 기괴한 캐릭터지만, 이상하리만큼 익숙하고 현실적이다. 영화는 이 ‘무도실무관’이라는 인물을 가상의 존재로 상상해낸다.  그는 예비군 훈련장의 ‘어르신’ 같은 존재이자, 훈련장 내 모든 비공식적 권력을 쥔 인물이다. 짬도, 나이도, 계급도 중요하지 않다. 그가 정하면 다들 따른다. 웃기면서도 섬뜩하다. 극 중 무도실무관은 “지휘관도, 간부도, 훈련도 내 허락 없인 안 돌아간다”는 식의 대사를 태연하게 날린다. 어이없는 대사인데, 그 권위가 은근 설득력 있다. 이 캐릭터를 통해 영화는 예비군 훈련이라는 일상적 공간을 일종의 블랙코미디 무대로 바꾼다.  특히 ‘예비군 알람 어플’에서 호출되는 장면, 훈련 중 감자 까기 논쟁, 위장크림 칠하는 강의 등은 현실과 판타지 사이를 절묘하게 넘나든다. 감독은 군필자들 사이에 퍼져 있던 인터넷 밈과 밑도 끝도 없는 ‘썰’을 하나의 내러티브로 끌어올렸다. 그 결과 《무도실무관》은 한국형 슈르 코미디 라는 새로운 장르를 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 예비군이라는 세계 – 군대보다 더 리얼한 불합리의 축소판 예비군 훈련은 어쩌면 ‘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