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홍수》 – 물속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본성
자연은 경고하지 않는다. 단지 쓸어버릴 뿐이다 우리는 자연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었다. 댐을 세우고, 제방을 높이고, 과학 기술로 미래를 예측하며. 하지만 영화 《대홍수》는 그런 인간의 자만을 단 10분 만에 뒤엎는다. 갑작스러운 집중호우와 댐 붕괴로 인해 서울 도심 전체가 잠기고, 사람들은 순식간에 물속으로 밀려든다. 영화는 전형적인 재난 블록버스터처럼 보이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인간과 인간 사이의 본질적인 관계, 이기심, 용기, 그리고 선택을 조명하는 묵직한 드라마다. 홍수는 단지 배경일 뿐, 진짜 '파도'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일고 있다. 1. 재난이 휩쓸고 간 자리에 남는 것 – 시각효과보다 강렬한 감정효과 《대홍수》는 장대한 스케일의 물 재난을 다룬다는 점에서 먼저 시선을 끈다. 서울 도심 전체가 잠긴 설정은 CG의 범위를 넘어선 현실감을 자랑하며, 홍수의 시작부터 고립까지의 전개는 관객을 빠른 속도로 몰입하게 만든다. 그러나 이 영화의 진짜 힘은 비주얼이 아니라 정서 에 있다. 도심 한복판, 침수된 지하철 안에 갇힌 승객들. 병원 응급실이 무너지고, 건물 옥상에서 헬기를 기다리는 가족들. 물은 공포의 매개체지만, 동시에 그들의 가장 진실한 감정을 끌어낸다. 평소에는 마주 보지 않던 사람들이 서로를 바라보게 되고, 무심하던 이웃이 갑자기 손을 잡아준다. 구조 요청이 닿지 않는 고립 속에서, 누구는 이기적으로 변하고, 누구는 의외의 용기를 내보인다. 특히 영화 중반, 침수된 병원 지하에서 남은 약품을 구하려고 자원하는 장면은 단순한 영웅 서사가 아니다. 그 선택 뒤에 있는 절박함과 책임감 , 그리고 ‘누군가는 해야 한다’는 무언의 동의가 만들어낸 긴장과 감동은 이 영화의 핵심 메시지를 단숨에 밀어올린다. 2. 캐릭터 중심의 서사 – 재난보다 무서운 건 사람이다 대다수 재난 영화가 상황 중심이라면, 《대홍수》는 철저히 인물 중심이다. 이 영화는 주요 인물 몇 명을 중심으로 좁은 공간 안에서 벌어지는 심리적, 도덕적 갈등...